수행

마음의 성질

by DrPHJ posted Mar 15, 2022
?

Shortcut

PrevPrev Article

NextNext Article

ESCClose

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

* 연기와 공성의 의미를 알아봅시다.

 

조건에 의해 생기는 현상이 곧 연기입니다.

공성은 연기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조건과 그에 따른 현상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.

 

* 세상도 연기하고 공성을 갖춥니다.

  

세상은 끝없는 연기이므로 조건이 결과가 되고 결과가 다시 조건이 되어 끝없이 연기한다는 것입니다.

 

*마음의 공성을 이해해 봅시다.

 

마음도 연기적으로 존재하므로 공성을 지니고 있습니다. 무슨 뜻인가 하면, 대상을 만날 때 마음이 나타난다는 뜻입니다. 대상없이 마음을 찾아보면 마음이 찾기질 않습니다. 마음의 대상이 원인이 되어 마음이 나타나므로 마음도 연기적으로 존재하는 것입니다. 마음에 들어오는 정보가 조건이 되어 , 마음의 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므로 곧 마음도 연기인 것입니다.

 

몸이 육근을 통해 대상을 만나면 인식을 하게  됩니다. 그렇게 되면 접촉이라는 심리가 일어나고 주관과 객관을 분리하게 되고 자신이라는 인식이 생겨난다. 인식은 대상을 표상하는 이미지 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, 이어서 옳고 그림을 따지는 생각이 일어납니다.

그래서 마음은 거울과 같다고 표현하는 것입니다.